728x90
반응형
Python에서 조건문(Conditional Statements)은 특정 조건이 참(True)인지 거짓(False)인지에 따라 코드의 실행 흐름을 결정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. Python의 조건문은 if, elif, else 키워드를 사용하며, 프로그램이 주어진 조건에 따라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합니다. 이 장에서는 조건문의 기본적인 구조부터 고급 활용법까지 심도 있게 살펴보겠습니다.
1. 조건문의 개요
㉮ 조건문의 필요성
- 조건문은 프로그래밍에서 의사결정(Decision Making)을 가능하게 하며, 특정 조건을 만족할 때만 특정 코드가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.
㉯ Python의 조건문 종류
- if 문 : 특정 조건이 참(True)일 경우에 실행.
- if-else 문 : 특정 조건이 참이면 첫 번째 블록 실행, 거짓이면 두 번째 블록 실행
- if-elif-else 문 : 여러 개의 조건을 순차적으로 평가하며, 첫 번째 참(True)인 조건을 실행
2. if 문 (단순조건문)
㉮ 기본 구조
if 조건:
실행할 코드
㉯ 예제 : 숫자가 양수인지 확인
num = 10
if num > 0:
print("양수입니다")
출력결과
양수입니다
3. if-else 문 (양자택일 조건문)
조건이 참(True)이면 if 블록이 실행되고, 거짓(False)이면 else 블록이 실행됩니다.
㉮ 기본 구조
if 조건:
실행할 코드 # 조건이 참일 때 실행
else:
실행할 코드 # 조건이 거짓말 때 실행
㉯ 예제 : 숫자가 양수인지, 음수인지 확인
num = -5
if num > 0:
print("양수입니다")
else:
print("음수입니다")
출력결과
음수입니다
4. if-elif-else 문 (다중 조건문)
if-elif-else 구조를 사용하면 여러 개의 조건을 순차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.
㉮ 기본 구조
if 조건1:
실행할 코드1
elif 조건2:
실행할 코드2
else:
실행할 코드3 # 위 조건이 모두 거짓이면 실행
㉯ 예제 : 숫자의 크기 비교
num = 0
if num > 0:
print("양수입니다")
elif num < 0:
print("음수입니다")
else:
print("0입니다")
출력결과
0입니다
5. 조건문에서 활용되는 연산자
㉮ 비교 연산자
- 조건문에서 비교 연산자를 사용하면 두 값을 비교할 수 있습니다.
연산자 | 설명 | 예제 (x=10, y=20) |
== | 같음 | x == y → False |
!= | 다름 | x != y → True |
> | 초과 | x > y → False |
< | 미만 | x < y → True |
>= | 이상 | x >= y → False |
<= | 이하 | x <= y → True |
㉯ 논리 연산자
- 조건을 조합할 때 논리 연산자를 사용합니다.
연산자 | 설명 | 예제 |
and | 둘 다 참이면 참 | ( x > 5 and x < 15) |
or | 둘 중 하나라도 참이면 참 | (x < 6 or x > 15) |
not | 논리 반전 | not(x > 5) |
㉰ 예제 : 나이 조건 검사
age = 25
if age >= 18 and age <= 65:
print("성인입니다")
6. 중첩 조건문 (Nested if Statements)
㉮ 기본 구조
if 조건1:
if 조건2:
실행할 코드
㉯ 예제 : 성적 등급 부여
score = 85
if score >= 60:
print("합격")
if score >= 90:
print("우수한 성적입니다")
else:
print("불합격")
7. 조건 표현식 (삼항 연산자)
Python에서는 if-else 문을 한 줄로 줄일 수 있는 조건 표현식(상항 연산자)을 제공합니다.
㉮ 기본 구조
변수 = 값1 if 조건 else 값2
㉯ 예제
num = 5
result = "양수" if num > 0 else "음수"
print(result) # 출력 : 양수
8. 조건문을 활용한 실용적인 예제
㉮ 숫자 크기 비교 프로그램
a = int(input("첫 번째 숫자를 입력하세요: "))
b = int(input("두 번째 숫자를 입력하세요: "))
if a > b:
print(f"{a}이(가) {b}보다 큽니다.")
elif a < b:
print(f"{a}이(가) {b}보다 작습니다.")
else:
print("두 숫자는 같습니다.")
㉯ 특정 문자영ㄹ 포함 여부 확인 프로그램
sentence = input("문장을 입력하세요: ")
word = input("검색할 단어를 입력하세요: ")
if word in sentence:
print(f"'{word}'이(가) 문장에 포함되어 있습니다.")
else:
print(f"'{word}'이(가) 문장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.")
9. 요약
- if, elif, else를 사용하여 조건에 따라 코드 실행 흐름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.
- 비교 연산자, 논리 연산자를 조합하여 다양한 조건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.
- 중첩 조건문을 사용하면 더 복잡한 논리를 구현할 수 있지만, 코드 가독성을 고려해야 합니다.
- 조건 표현식(상항 연산자)을 사용하면 간결한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.
- 실용적인 예제를 통해 조건문을 실제 프로그램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.
728x90
반응형
'코딩교육 > Python 초등교육에서 전문가까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단계 : 2. 조건문 (조건문 중첩과 효율적인 사용법) (0) | 2025.02.21 |
---|---|
2단계 : 2. 조건문 (조건문 작성 시 유의사항, 들여쓰기, 조건 표현식) (0) | 2025.02.20 |
2단계 : 1. 변수와 자료형 (feat. 변수와 메모리 구조 이해) (0) | 2025.02.14 |
2단계 : 1. 변수와 자료형 (feat. 자료형 소개와 특징) (0) | 2025.02.13 |
2단계 : 1. 변수와 자료형 (feat. Python의 동적 타이핑 특성) (1) | 2025.02.12 |